This is a paragraph! Here's how you make a link: Neocities.
Here's how you can make bold and italic text.
Here's how you can add an image:
Here's how to make a list:
홈페이지 서버 다운 등의 이슈로 제출이 불가능한 경우, 연구계획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 이메일(hscinfo@naver.com)로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연구계획서 양식팀 회원 아이디 | palasonic | |||||||||
---|---|---|---|---|---|---|---|---|---|---|
프로젝트 명 | 기포를 이용한 해수에서의 광범위한 미세 플라스틱 제거 방안 연구 | |||||||||
연구 목적 |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사이 북태평양에는 대한민국 면적의 15배에 달하는 쓰레기 섬이 있다는 기사를 접하였다. 이 섬의 대부분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큰 플라스틱이 아닌 수백μm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플라스틱이다.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 경로에는 여러 경로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큰 플라스틱에서 광분해 된 것과 화장품 등의 마이크로비즈에서 기인한 것이 있다. 이렇게 발생한 미세 플라스틱은 쓰레기 섬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바다, 심해, 심지어 수돗물이나 우리가 마시는 생수에도 퍼져 있다.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은 발생 경로만큼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 해양 생물은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하여 섭취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 때문에 각종 질병에 시달리거나 성장, 번식 등에 장애를 겪는다. 또한 미세 플라스틱은 ‘초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될 가능성이 높은데, 1μ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이들은 생물체 내에 침입해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는 등 독성을 보인다. 만약 미세 플라스틱을 이대로 방치한다면 생물권 내의 ‘초미세 플라스틱’은 인류에 위협이 될 것이다. 따라서 대대적인 미세 플라스틱 제거가 필요하나, 그 크기 때문에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현재 세계적인 미세 플라스틱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약 15cm 깊이의 해수면에서 측정되는 미세 플라스틱 양은 실제로 해풍에 의해 혼합된, 비교적 깊은 곳에 있는 플라스틱은 고려하지 않은 양이므로 실제 플라스틱 양보다 적은 값이 측정되고 있음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는 탄산음료에 건포도를 넣어 띄우는 실험에서 착안하여 미세 플라스틱에 기포를 부착시켜 수면으로 유도해 쉽게 수거하는 방법을 구상했다. 또한, 기포 생성을 위해 캔 맥주 속의 위젯과 발포 비타민에서 발생하는 기포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기포를 공급할 것이다. 이 방법은 해풍으로 인해 하강한 미세플라스틱을 수면으로 유도하여 더 정확한 미세플라스틱의 측정과 더 효율적인 제거를 도울 것이다. |
|||||||||
연구 방법 | 두 가지 요소를 통해 본 연구의 특성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현재 미세플라스틱(이하 M.P.) 제거를 위해 진행되는 연구는 대부분 실제 폐수를 직접 사용하거나, M.P.을 채취하여 시료로 만들어 진행된다. 하지만, 폐수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접근 권한 취득이 힘들고, peer review가 어려운 학생들의 연구에서는 사용된 시료의 출처나 제조 방법에서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마찬가지로, 본 연구 역시 실제 M.P. 폐수를 사용하는 것에 현실적인 한계를 느꼈고, 이에 인공적으로 M.P. 시료를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는 방법을 계획하였다. 인공 M.P. 시료는 다양한 종류의 메조 혹은 매크로 플라스틱을 파쇄한 후 이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제조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flake형 M.P.이 주로 생성되기 때문에 실제 해양에 분포하는 다양한 M.P.의 형상(flake, string, bead 등)을 재현할 수 없으며, 광분해에 의해 생성된 M.P.의 표면 특성을 재현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M.P. 제거에 관한 새로운 아이디어의 제시와 실현 가능성 확인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두 번째 특성은 선행된 연구와의 차이점이다. 기포를 이용하여 액체 내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부상분리'라고 명명되며 폐수 처리 시 슬러지 제거 등에 관련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기포의 계면에서 보이는 물의 상호작용은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실제로 소수성 광물의 선택적 분리를 위해 '부유선광법'으로 개발되어 있다. 많은 플라스틱은 물과 소수성 상호작용을 하므로, 이 역시 광물처럼 분리될 것이다. 하수 처리 시 부상분리법의 M.P. 제거 연구가 있으나, 여러 문제점(문헌 3)이 존재하였고, 제거 성능 역시 분리막 생물반응조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상분리의 유의미한 제거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해양에 적용할 경우 낮은 가격으로 뛰어난 효율을 보일 것이라고 기대한다. |
|||||||||
연구 내용 |
|
|||||||||
예상결과 |
|
|||||||||
참고문헌 URL |
https://kiost.ac.kr/cop/bbs/BBSMSTR_000000000331/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62B67AD5B18C293E45 |
|||||||||
https://www.konetic.or.kr/insight/koneticreport_view.asp?unique_num=1316&tblNm= |
||||||||||
http://www.osean.net/data/semina.php?ptype=view&code=data_semina&idx=6182 |
||||||||||
https://doi.org/10.1016/j.watres.2017.07.005 |
||||||||||
https://doi.org/10.1038/srep33882 |
||||||||||
참가 신청 경로 | 학교에 부착된 홍보물 및 공문 교사 소개 친구 선후배 |
To learn more HTML/CSS, check out these tutorials!